몽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몽골 축구 협회의 지원 아래 2017년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 2018년 EAFF E-1 챔피언십 예선에서 괌을 꺾고 2차 예선에 진출했으며, 2020 AFC 여자 올림픽 예선에도 참가했다. 2019 EAFF E-1 챔피언십 예선에서 FIFA 공인 국제 경기 첫 승을 거두었다. FIFA 여자 월드컵에는 1999년부터 2023년까지, AFC 여자 아시안컵에는 2022년 예선에 참가했으나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올림픽에는 2020년 예선에 참가했고, 아시안 게임에는 2022년에 처음 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의 축구 - 몽골 축구 국가대표팀
몽골 축구 국가대표팀은 "푸른 늑대"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으나,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최종 예선에 진출하는 등 최근 성장세를 보이는 몽골의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 몽골의 축구 - 몽골 축구 연맹
몽골 축구 연맹은 1959년 설립되어 1998년 FIFA와 AFC에 가입하고 2002년 EAFF 창립에 참여했으며, 몽골 축구 국가대표팀 운영, 몽골 프리미어 리그 관리 등 몽골 축구 발전을 이끄는 협회로 현재 회장은 간바타르 암갈란바타르이다. - 아시아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75년 창설되어 AFC 여자 아시안컵에서 우승과 준우승을 기록하며 아시아 강호로 자리매김했으나,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 후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는 등 부진한 성적을 보였고, 현재 국제 대회 성적 향상을 위해 노력 중이다. - 아시아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이란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이란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79년 혁명 이후 활동이 중단되었다가 2004년 재창단되어 서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을 세 차례 차지하며 국제 무대에 진출, 히잡 착용 문제와 훈련 및 지원 부족 등의 어려움 속에서도 2022년 AFC 여자 아시안컵 본선에 처음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나, 여전히 발전 과정에 있으며 사회적 문제와도 연관되어 있다. - AFC에 관한 -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은 부탄 축구 연맹의 관리를 받으며 창림탕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는 부탄의 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월드컵 및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이변을 연출하고 2008년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준결승에 진출하는 등 성과를 냈다. - AFC에 관한 - 아시아 축구 연맹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아시아 축구 발전을 위해 1954년 창설되어 쿠알라룸푸르에 본부를 두고 47개 회원국을 관할하며 FIFA 월드컵, AFC 아시안컵 등 대회를 주관하고, 5개 지역 연맹으로 구성되어 회원국 경기력 향상을 지원한다.
몽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
---|---|
기본 정보 | |
팀 유형 | 여자 |
국가 | 몽골 |
별칭 | 푸른 늑대들 (Хөх чононууд) |
하위 연맹 | EAFF (동아시아) |
연맹 | AFC (아시아) |
협회 | 몽골 축구 연맹 |
감독 | 산다그도르지인 에르데네바트 |
주장 | 오로그돌 차산-오힌 |
최다 출장 선수 | 2명 (16) |
최다 득점 선수 | 나르만다흐 나무나 (4) |
FIFA 코드 | MNG |
FIFA 최고 랭킹 | 115 |
FIFA 최고 랭킹 날짜 | 2018년 12월 |
FIFA 최저 랭킹 | 129 |
FIFA 최저 랭킹 날짜 | 2022년 8월 – 12월 |
첫 경기 | 3–2 ( 울란바토르, 몽골; 2018년 9월 3일) |
최대 승리 | 3–2 ( 울란바토르, 몽골; 2018년 9월 3일) 1–0 ( 울란바토르, 몽골; 2018년 9월 5일) |
최대 패배 | 19–0 ( 주하이, 중국; 2023년 12월 2일)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상의 색상 | 0066B3 |
홈 유니폼 하의 색상 | 0066B3 |
홈 유니폼 양말 색상 | 0066B3 |
원정 유니폼 상의 색상 | FFFFFF |
원정 유니폼 하의 색상 | FFFFFF |
원정 유니폼 양말 색상 | FFFFFF |
지역 컵 대회 정보 | |
지역 컵 대회 (2) 이름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기타 정보 | |
몽골어 명칭 | Монголын хөлбөмбөгийн эмэгтэйчүүдийн шигшээ баг |
일본어 명칭 | サッカーモンゴル国女子代表 |
한국어 명칭 | 몽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2. 역사
몽골 축구 협회는 여자 축구 발전을 위해 이키 요지 감독을 선임했다. 몽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18년 9월 울란바토르에서 열린 2019 EAFF E-1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 1차전을 통해 데뷔하였다. 북마리아나 제도와의 첫 경기에서 3:2로 승리하였고,[7] 괌과의 경기에서는 1:0으로 승리하였다.[2]
2. 1. 초기
아시아, 특히 동아시아에서 여자 축구가 발전하기 시작하면서 몽골축구협회는 몽골 여자 축구를 발전시키기 위한 새로운 정책을 발표했고, 일본인 감독인 이키 요지를 임명하여 여자 축구 발전을 지원했다. 2016년에는 이키 요지 감독이 16세 이하 여자 대표팀 감독으로 재임명되었고, 1년 만에 2017 EAFF E-1 축구 선수권 대회 C조에 참가하며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 몽골 대표팀은 국제 무대에서 첫 골을 넣고 첫 승리를 거두는 역사적인 순간을 맞이했다. 2017 EAFF E-1 축구 선수권 대회에 시니어 대표팀을 출전시킬 계획이었지만 예선이 시작되기 전에 기권했다.2018년 EAFF는 2019 EAFF E-1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을 몽골에서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몽골은 감독 간볼드 체데브수렌의 지휘 아래 북마리아나 제도를 상대로 국제 대회 첫 경기를 승리로 장식했다. 2골 차로 뒤지던 경기를 3대 2로 역전승하며 약 421명의 관중 앞에서 홈 승리를 거머쥐었다. 나르만닥 나무나가 몽골의 첫 골을 넣었다.[2] 두 번째 경기에서는 괌을 1대 0으로 꺾는 인상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6점으로 몽골이 조 1위를 차지했다. 세 번째 경기에서는 마카오와 무승부를 기록했다. 몽골은 무패로 예선 1라운드를 통과하며 역사적인 2차 예선 진출을 확정했다.
2018년 10월, 몽골 축구협회는 동아시아를 벗어난 첫 메이저 대회인 2020 AFC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참가를 발표했다. 조 추첨 결과 타지키스탄(개최국), 필리핀, 싱가포르, 그리고 중화 타이베이와 같은 조에 속하게 되었다. 몽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18년 9월 울란바토르에서 개최된 2019 EAFF E-1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 1차전에서 데뷔했다. 9월 3일 아시아 축구 연맹(AFC) 회원국인 북마리아나 제도와의 첫 국제 경기에서 3대 2로 승리했고[7], 9월 5일에는 FIFA 회원국인 괌과의 첫 경기에서 1대 0으로 승리했다.
2. 2. 성장과 도전
몽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18년 9월 울란바토르에서 개최된 2019 EAFF E-1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 1차전에서 데뷔했다. 9월 3일 아시아 축구 연맹(AFC) 회원국인 북마리아나 제도와의 첫 국제 경기에서 3대 2로 승리했고[7], 9월 5일에는 FIFA 회원국인 괌과의 첫 경기에서 1대 0으로 승리했다.3. 국제 대회 경력
몽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여자 월드컵, AFC 여자 아시안컵, 하계 올림픽 축구 본선에 출전한 기록이 없다. 다만, 2022년 아시안 게임에 유일하게 출전하여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EAFF E-1 풋볼 챔피언십의 경우, 2019년 대회 예선 1라운드에서 북마리아나 제도를 3-2로 꺾고, 괌을 1-0으로 꺾는 등 2승 1무의 좋은 성적을 거두며 2라운드에 진출했다.[7] 그러나 2라운드에서는 3전 전패로 결승 라운드 진출에는 실패했다.
아시안 게임 기록 | ||||||||
---|---|---|---|---|---|---|---|---|
년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90 | 존재하지 않음 | |||||||
1994 | ||||||||
1998 | 불참 | |||||||
2002 | ||||||||
2006 | ||||||||
2010 | ||||||||
2014 | ||||||||
2018 | ||||||||
2022 | 조별 리그 | 15위 | 2 | 0 | 0 | 2 | 0 | 22 |
2026 | 미정 | |||||||
2030 | ||||||||
2034 | ||||||||
출전 횟수 | 1/9 | 15위 | 2 | 0 | 0 | 2 | 0 | 22 |
3. 1. FIFA 여자 월드컵
FIFA 여자 월드컵 기록 | ||||||||
---|---|---|---|---|---|---|---|---|
년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91 | 존재하지 않음 | |||||||
1995 | ||||||||
1999 | 참가하지 않음 | |||||||
2003 | ||||||||
2007 | ||||||||
2011 | ||||||||
2015 | ||||||||
2019 | ||||||||
2023 | 예선 탈락 | |||||||
2027 | 미정 | |||||||
출전 횟수 | 0/9 | – | – | – | – | – | – | – |
- 무승부에는 승부차기로 결정된 토너먼트 경기도 포함됩니다.
3. 2. AFC 여자 아시안컵
2022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을 통해 사상 첫 메이저 대회 예선 데뷔전을 치렀으나, E조에서 대한민국과 우즈베키스탄을 상대로 2전 전패·무득점·24실점·조 최하위라는 처참한 성적을 남기며 아시아 축구의 높은 벽을 실감했다.[1]AFC 여자 아시안컵 기록 | |||||||||
---|---|---|---|---|---|---|---|---|---|
년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 | 무승부*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1975 | 존재하지 않음 | ||||||||
1977 | |||||||||
1980 | |||||||||
1981 | |||||||||
1983 | |||||||||
1986 | |||||||||
1989 | |||||||||
1991 | |||||||||
1993 | |||||||||
1995 | |||||||||
1997 | |||||||||
1999 | 참가하지 않음 | ||||||||
2001 | |||||||||
2003 | |||||||||
2006 | |||||||||
2008 | |||||||||
2010 | |||||||||
2014 | |||||||||
2018 | |||||||||
2022 | 예선 통과 실패 | ||||||||
2026 | 미정 | ||||||||
2029 | |||||||||
출전 횟수 | 0/20 | – | – | – | – | – | – | – | – |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 기록 | ||||||
---|---|---|---|---|---|---|
경기 수 | 승 | 무승부*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2 | 0 | 0 | 2 | 0 | 24 | −24 |
:*무승부는 승부차기로 결정된 토너먼트 경기를 포함합니다.
3. 3. 올림픽
하계 올림픽 기록 | 올림픽 예선 기록 | |||||||||||||||
---|---|---|---|---|---|---|---|---|---|---|---|---|---|---|---|---|
년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1996 | 불참 | 불참 | ||||||||||||||
2000 | ||||||||||||||||
2004 | ||||||||||||||||
2008 | ||||||||||||||||
2012 | ||||||||||||||||
2016 | ||||||||||||||||
2020 | 예선 탈락 | 4 | 0 | 1 | 3 | 4 | 20 | −16 | ||||||||
2024 | 2 | 0 | 1 | 1 | 2 | 8 | −6 | |||||||||
2028 | 미정 | 미정 | ||||||||||||||
2032 | ||||||||||||||||
출전 횟수 | 0/7 | – | – | – | – | – | – | – | – | 6 | 0 | 2 | 4 | 6 | 28 | −22 |
3. 4.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18년 9월 5일 괌과의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예선 1라운드를 통해 FIFA 공인 국제 경기 공식 데뷔전을 치렀고 이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했다.[7] 앞서 열린 북마리아나 제도와의 1차전 경기에서 3-2로 승리했지만, 이는 FIFA가 인정하지 않은 비공식 경기였다.[7] 몽골은 이 대회에 첫 출전해 예선 1라운드에서 2승 1무의 좋은 성적으로 2라운드에 진출했지만, 예선 2라운드에서는 3전 전패, 최하위를 기록하며 결승 라운드 진출에 실패했다.년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2005 | 참가하지 않음 | |||||||
2008 | 참가하지 않음 | |||||||
2010 | 참가하지 않음 | |||||||
2013 | 참가하지 않음 | |||||||
2015 | 참가하지 않음 | |||||||
2017 | 기권 | |||||||
2019 | 예선 탈락 | |||||||
2022 | 참가하지 않음 | |||||||
2025 | 예선 탈락 | |||||||
2028 | 미정 | |||||||
2030 | 미정 | |||||||
출전 횟수 | 0/8 | – | – | – | – | – | – | – |
- 무승부는 승부차기로 결정된 토너먼트 경기를 포함합니다.
3. 5. 아시안 게임
년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90 | 존재하지 않음 | |||||||
1994 | 존재하지 않음 | |||||||
1998 | 불참 | |||||||
2002 | ||||||||
2006 | ||||||||
2010 | ||||||||
2014 | ||||||||
2018 | ||||||||
2022 | 조별 리그 | 15위 | 2 | 0 | 0 | 2 | 0 | 22 |
2026 | colspan="8" | | |||||||
2030 | colspan="8" | | |||||||
2034 | colspan="8" | | |||||||
출전 횟수 | 1/9 | 15위 | 2 | 0 | 0 | 2 | 0 | 22 |
- 무승부에는 승부차기로 결정된 토너먼트 경기가 포함됩니다.
4. 코칭 스태프
직책 | 이름 |
---|---|
감독 | 산다그도르지인 에르데네바트 |
수석 코치 | 다바알카그바 에르데네-오치르, 문크투야 엔크투이, 시네바야르 엔크바야르 |
의무관 | 푸레브바타르 다바자브 |
팀 닥터 | 사랑게렐 나친바타르 |
팀 매니저 | 엔크치메그 자르갈사이칸 |
역대 감독으로는 간볼드 체데브수렌, 가와모토 나오코, 산다그도르지인 에르데네바트가 있다.
4. 1. 현재 코칭 스태프
직책 | 이름 |
---|---|
감독 | 산다그도르지인 에르데네바트 |
수석 코치 | 다바알카그바 에르데네-오치르 |
수석 코치 | 문크투야 엔크투이 |
수석 코치 | 시네바야르 엔크바야르 |
의무관 | 푸레브바타르 다바자브 |
팀 닥터 | 사랑게렐 나친바타르 |
팀 매니저 | 엔크치메그 자르갈사이칸 |
4. 2. 역대 감독
이름 | 기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승률 (%) | 비고 | 참고자료 |
---|---|---|---|---|---|---|---|---|
간볼드 체데브수렌 (Цэдэвсүрэн Ганболд) | 2018년 | 10 | 2 | 2 | 6 | 20.00% | [3] | |
가와모토 나오코 (Наоко Кавамото) | 2019년 | 0 | 0 | 0 | 0 | 0.00% | [4] | |
산다그도르지인 에르데네바트 (Сандагдоржийн Эрдэнэбат) | 2021년– | 6 | 0 | 1 | 5 | 0.00% |
5. 선수
2025 EAFF E-1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는 몽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23년 12월 4일 홍콩과의 경기 후 기록을 기준으로 발표되었다.[5]
차산옥힌 오로그돌이 주장으로 선임되었으며, 바얀주르흐 스포팅 일치 FC, FC 카라차이, 스톰, 카드 FC 등 다양한 클럽 소속 선수들이 포함되었다.
최근 대표팀에 차출된 선수로는 뱄암바트세체그 뭉크줄, 르하그바 부진르캄, 엥흐바야르 엥흐나무운, 세르-오드 우드발, 푸레브도르지 네르귀 등이 있다.
몽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목록에서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5. 1. 현재 선수 명단
다음은 2023년 12월 4일 와의 경기 후 몽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이다.[5]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출전 경기 수 | 득점 수 | 소속 클럽 |
---|---|---|---|---|---|
GK | Цэнджав Эрдэнэбилэг|첸드자브 에르데네빌레그mn | 2002년 5월 5일 | 13 | 0 | 바얀주르흐 스포팅 일치 FC |
GK | Ижилмөрөн 뭉크바타르|이질무른 뭉크바타르mn | 2005년 11월 28일 | 0 | 0 | FC 카라차이 |
GK | Замбага 투무르바트|잠바가 투무르바트mn | 2008년 5월 2일 | 0 | 0 | FC 카라차이 |
DF | Хүслэн 뭉크에르데네|후슬렌 뭉크에르데네mn | 2005년 4월 1일 | 4 | 0 | 스톰 |
DF | Байгалмаа Эрдэнэбат|바이갈마 에크바트mn | 2000년 12월 27일 | 3 | 0 | 카드 FC |
DF | Намуун Баярсайхан|나무운 바야르사이칸mn | 1991년 11월 18일 | 12 | 1 | 스톰 |
DF | Цасан-Охин Орогдол|차산옥힌 오로그돌mn | 1997년 9월 21일 | 16 | 1 | 바얀주르흐 스포팅 일치 FC |
DF | Алтантуяа Алтансүх|알탄투야 알탄숙mn | 1996년 9월 29일 | 16 | 0 | 스톰 |
DF | Аманда Хишигцэнгэл|아만다 키시크츠엔겔mn | 2004년 11월 28일 | 3 | 0 | FC 카라차이 |
DF | Энэрэл Сүхбат|에네렐 숙밧mn | 2007년 6월 19일 | 1 | 0 | FC 카라차이 |
DF | Аззаяа Энхбаяр|아자야 엔크바야르mn | 2004년 11월 13일 | 0 | 0 | FC 카라차이 |
MF | Ү. Солонго Уринбаяр|솔롱고 우린바야르mn | 2003년 11월 28일 | 1 | 0 | 카드 FC |
MF | Халиут Мөнхгарид|할리우트 뭉크가리드mn | 2008년 7월 9일 | 3 | 0 | FC 카라차이 |
MF | Энхжин Тулгабадрах|엔크진 툴가바드락mn | 2000년 9월 29일 | 5 | 0 | 카드 FC |
MF | Нандин-Эрдэнэ Баярмаанай|난딘에르데네 바야르마나이mn | 2005년 1월 16일 | 2 | 0 | FC 카라차이 |
MF | Ч. Солонго Чинбаатар|솔롱고 친바타르mn | 2003년 8월 14일 | 5 | 0 | FC 카라차이 |
MF | Золзаяа Сарангэрэл|졸자야 사랑게렐mn | 2006년 2월 25일 | 4 | 0 | FC 카라차이 |
FW | Ундрах Өлзийбаяр|운드락 울지바야르mn | 1998년 7월 20일 | 10 | 1 | 바얀주르흐 스포팅 일치 FC |
FW | Намуунаа Нармандах|나무나 나르만닥mn | 1999년 8월 12일 | 15 | 4 | 스톰 |
FW | Энхмаргад Энхбаатар|엔크마르가드 엔크바타르mn | 2003년 3월 20일 | 8 | 0 | 스톰 |
5. 2. 최근 차출된 선수
2025 EAFF E-1 축구 선수권 대회 (여자)에 출전하는 선수 명단이다.[5] 2023년 12월 4일 경기 후 기록 기준이다.포지션 | 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수 | 득점 수 | 소속 클럽 |
---|---|---|---|---|---|---|
GK | 1 | 첸드자브 에르데네빌레그 | Цэнджав|첸드자브mn | 13 | 0 | 바얀주르흐 스포팅 일치 FC |
GK | 20 | 이질무른 뭉크바타르 | Ижилмөрөн|이질무른mn | 0 | 0 | FC 카라차이 |
GK | 21 | 잠바가 투무르바트 | Замбага|잠바가mn | 0 | 0 | FC 카라차이 |
DF | 3 | 후슬렌 뭉크에르데네 | Хүслэн|후슬렌mn | 4 | 0 | 스톰 |
DF | 4 | 바이갈마 에크바트 | Байгалмаа|바이갈마mn | 3 | 0 | 카드 FC |
DF | 5 | 나무운 바야르사이칸 | Намуун|나무운mn | 12 | 1 | 스톰 |
DF | 7 | 차산옥힌 오로그돌 | Цасан-Охин|차산옥힌mn | 16 | 1 | 바얀주르흐 스포팅 일치 FC |
DF | 8 | 알탄투야 알탄숙 | Алтантуяа|알탄투야mn | 16 | 0 | 스톰 |
DF | 13 | 아만다 키시크츠엔겔 | Аманда|아만다mn | 3 | 0 | FC 카라차이 |
DF | 14 | 에네렐 숙밧 | Энэрэл|에네렐mn | 1 | 0 | FC 카라차이 |
DF | 15 | 아자야 엔크바야르 | Аззая|아자야mn | 0 | 0 | FC 카라차이 |
MF | 2 | 솔롱고 우린바야르 | Ү. Солонго|솔롱고mn | 1 | 0 | 카드 FC |
MF | 6 | 할리우트 뭉크가리드 | Халиут|할리우트mn | 3 | 0 | FC 카라차이 |
MF | 12 | 엔크진 툴가바드락 | Энхжин|엔크진mn | 5 | 0 | 카드 FC |
MF | 16 | 난딘에르데네 바야르마나이 | Нандин-Эрдэнэ|난딘에르데네mn | 2 | 0 | FC 카라차이 |
MF | 18 | 솔롱고 친바타르 | Ч. Солонго|솔롱고mn | 5 | 0 | FC 카라차이 |
MF | 19 | 졸자야 사랑게렐 | Золзаяа|졸자야mn | 4 | 0 | FC 카라차이 |
FW | 9 | 운드락 울지바야르 | Ундрах|운드락mn | 10 | 1 | 바얀주르흐 스포팅 일치 FC |
FW | 11 | 나무나 나르만닥 | Намуунаа|나무나mn | 15 | 4 | 스톰 |
FW | 17 | 엔크마르가드 엔크바타르 | Энхмаргад|엔크마르가드mn | 8 | 0 | 스톰 |
지난 12개월 동안 국가대표팀에 차출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포지션 | 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수 | 득점 수 | 소속 클럽 | 최근 차출 |
---|---|---|---|---|---|---|---|
GK | 1 | 뱄암바트세체그 뭉크줄 | Мөнхзул|뭉크줄mn | 5 | 0 | 스톰 | 2023년 4월 7일 |
GK | 21 | 르하그바 부진르캄 | Бүжинлхам|부진르캄mn | 0 | 0 | 아르비스 FC | 2023년 4월 7일 |
DF | 4 | 엥흐바야르 엥흐나무운 | Энхнамуун|엥흐나무운mn | 2 | 0 | 조기누드 | 2023년 4월 7일 |
MF | 10 | 세르-오드 우드발 | Удвал|우드발mn | 12 | 0 | 스톰 | 2023년 4월 7일 |
MF | 13 | 푸레브도르지 네르귀 | Нэргүй|네르귀mn | 4 | 0 | 투브 부가누드 FC | 2023년 4월 7일 |
5. 3. 최다 출전 선수
# | 선수 | 활동 기간 | 출전 경기 수 | 득점 |
---|---|---|---|---|
1 | 차산-오힌 오로그돌(Tsasan-Okhin Orogdol) | 2018년–현재 | 16 | 1 |
알탄투야 알탄수크(Altantuya Altansukh) | 2018년–현재 | 16 | 0 | |
3 | 나르만닥 나무나(Narmandakh Namuunaa) | 2018년–현재 | 15 | 4 |
4 | 에르데네빌레그 첸자브(Erdenebileg Tsendjav) | 2018년–현재 | 13 | 0 |
5 | 투브신자르갈 운드랄(Tuvshinjargal Undral) | 2018년–현재 | 12 | 1 |
바이야르사이칸 나문(Bayarsaikhan Namuun) | 2018년–현재 | 12 | 1 | |
세르-오드 우드발(Ser-od Udval) | 2018년–현재 | 12 | 0 | |
8 | 울지이바야르 바담카탄(Ulziibayar Badamkhatan) | 2018년–현재 | 11 | 0 |
9 | 울지이바야르 운드라크(Ulziibayar Undrakh) | 2018년–현재 | 9 | 1 |
10 | 네르귀 다슈둘람(Nergui Dashdulam) | 2018년–현재 | 9 | 0 |
냐므스렌 델게르자야(Nyamsuren Delgerzaya) | 2018년–현재 | 9 | 0 |
5. 4. 최다 득점 선수
2023년 4월 7일 기준 몽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최다 득점 선수 목록은 다음과 같다.[6]# | 선수 | 활동 기간 | 득점 | 출전 경기 수 |
---|---|---|---|---|
1 | 나르만다흐 나무나(Narmandakh Namuunaa|나르만다흐 나무나영어) | 2018년–현재 | 4 | 13 |
2 | 초르몬 간치메그(Tsolmon Ganchimeg|초르몬 간치메그영어) | 2018년–현재 | 1 | 5 |
옷곤바아타르 사랑가라브(Otgonbaatar Sarangarav|옷곤바아타르 사랑가라브영어) | 2018년–현재 | 8 | ||
차산-오킨 오로그돌(Tsasan-Okhin Orogdol|차산-오킨 오로그돌영어) | 2018년–현재 | 14 | ||
나무운 바야르사이칸(Namuun Bayarsaikhan|나무운 바야르사이칸영어) | 2018년–현재 | 10 | ||
투브신자르갈 운드랄(Tuvshinjargal Undral|투브신자르갈 운드랄영어) | 2018년–현재 | 12 | ||
운드라흐 울지바야르(Undrakh Ulziibayar|운드라흐 울지바야르영어) | 2018년–현재 | 9 |
6. 역대 전적
다음은 몽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경기 결과와 상대 전적을 정리한 내용이다.
날짜 | 상대팀 | 결과 | 득점 | 실점 | 대회 | 경기장 | 비고 |
---|---|---|---|---|---|---|---|
2023년 4월 4일 | 싱가포르 | 무 | 2 | 2 | 2024 AFC 여자 올림픽 예선 | 촌부리 스타디움(Chonburi Stadium) | [1] |
2023년 4월 7일 | 태국 | 패 | 0 | 6 | 2024 AFC 여자 올림픽 예선 | 촌부리 스타디움(Chonburi Stadium) | [2] |
2023년 9월 22일 | 중국 | 패 | 0 | 16 | 2022 아시안 게임 | 린핑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 [3] |
2023년 9월 25일 | 우즈베키스탄 | 패 | 0 | 6 | 2022 아시안 게임 | 린핑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 [4] |
2023년 11월 30일 | 북마리아나 제도 | 패 | 3 | 4 | 2025 EAFF E-1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 | 수오카 스포츠 훈련 기지 피치 2 | [5] |
2023년 12월 2일 | 북한 | 패 | 0 | 19 | 2025 EAFF E-1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 | 수오카 스포츠 훈련 기지 피치 2 | [6] |
2023년 12월 4일 | 홍콩 | 패 | 0 | 6 | 2025 EAFF E-1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 | 수오카 스포츠 훈련 기지 피치 1 | [7] |
상대팀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률 |
---|---|---|---|---|---|---|---|---|
중국 | 2 | 0 | 0 | 2 | 0 | 26 | -26 | 0.00 |
중화 타이베이 | 2 | 0 | 0 | 2 | 0 | 15 | -15 | 0.00 |
괌 | 1 | 1 | 0 | 0 | 1 | 0 | +1 | 100.00 |
홍콩 | 2 | 0 | 0 | 2 | 0 | 6 | -6 | 0.00 |
마카오 | 1 | 0 | 1 | 0 | 0 | 0 | 0 | 0.00 |
북마리아나 제도 | 2 | 1 | 0 | 1 | 6 | 6 | -6 | 100.00 |
필리핀 | 1 | 0 | 0 | 1 | 1 | 5 | -4 | 0.00 |
싱가포르 | 2 | 0 | 2 | 0 | 4 | 4 | 0 | 0.00 |
대한민국 | 1 | 0 | 0 | 1 | 0 | 12 | -12 | 0.00 |
타지키스탄 | 1 | 0 | 0 | 1 | 1 | 4 | -3 | 100.00 |
태국 | 1 | 0 | 0 | 1 | 0 | 6 | -6 | 100.00 |
우즈베키스탄 | 2 | 0 | 0 | 2 | 0 | 18 | -18 | 0.00 |
북한 | 1 | 0 | 0 | 1 | 0 | 19 | -19 | 0.00 |
합계 | 16 | 2 | 3 | 11 | 10 | 95 | -85 | 12.50 |
참조
[1]
뉴스
55th EAFF Executive Committee Meeting
https://eaff.com/new[...]
East Asian Football Federation
2018-03-30
[2]
뉴스
Masakåda shut out Macau in EAFF soccer tournament
https://www.guampdn.[...]
2018-09-04
[3]
웹사이트
EAFF E-1 Football Championship 2019 Preliminary Round 1 Mongolia : Mongolia vs. Northern Marian Islands
https://eaff.com/com[...]
[4]
웹사이트
Mongolian national football team head coach Naoko Kawamoto met with Ambassador H. Kobayashi
https://www.mn.emb-j[...]
[5]
뉴스
"ХАНЖОУ-2022" АЗИЙН НААДАМД ОРОЛЦОХ ЭМЭГТЭЙЧҮҮДИЙН ШИГШЭЭ БАГИЙН БҮРЭЛДЭХҮҮН
https://the-mff.mn/%[...]
Mongolian Football Federation
2023-09-14
[6]
웹사이트
UPDATED: Mongolia WNT All-Time Top Scorers List
https://www.mongolia[...]
Mongolian Football Central
2023-02-12
[7]
뉴스
Masakåda shut out Macau in EAFF soccer tournament
https://www.guampdn.[...]
2018-09-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